|
 |
|
 |
|
 |
강직성 척추염 정의 |
|
 |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나 천장관절의 만성적인 염증 형태를 말합니다. 천장관절은 천골(꼬리뼈 바로 위에 있는 뼈)과 장골(엉덩이 위부분 양쪽에 있는 뼈)이 만나는 등의 하단 부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부위의 만성염증은 척추 주위와 내부에 통증이나 경직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관절강직이라는 과정인 척추골 유착에 이르게 되므로, 관절 강직은 척추의 전체적 운동성 상실을 의미합니다. |
강직성 척추염은 조직적인 류마티즘성 질환으로, 척추에서 퍼져 다른 관절이나 눈, 심장, 폐, 신장과 같은 기관에도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여러 다른 관절성 질병인 건성 관절염, 레이터 증후군이나 트론즈병과 궤양성 대장염을 수반한 관절염 등의 특징과 많이 유사하기 때문에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이런 관절염 질환은 척추, 관절, 눈, 피부 구강, 그리고 다양한 기관에 질병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이처럼 척추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향과 유사성 때문에 이러한 질병들을 전체적으로 추골 관절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아동을 포함한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발병률은 여성보다 남성이 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증상의 첫 시작 연령은 20~30세인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 |
|
 |
|
 |
 |
|
 |
|
 |
강직성 척추염 원인 |
|
이 질병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나 강직성척추염 환자의 90%가 HLA-B27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그러나 HLA-B27유전자는 강직성 척추염의 발병 경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만 나타나고 실제 병이 발병하려면 다른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7%의 미국 인구가 HLA-B27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지만 단지 1%만이 강직성 척추염을 앓게 되며, 북부 스칸디나비아에서는 HLA-B27유전자를 가진 24%의 인구 중 1.8%가 이병을 앓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또한 HLA-B27유전자 양성반응자의 강직성 척추염발병 위험도 유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 | |
|
 |
|
 |
 |
|
 |
|
 |
강직성 척추염 증상 |
|
이 질병의 증상은 척추, 관절 그리고 다른 기관의 염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척추의 염증은 등의 하단부, 엉덩이 윗부분, 목, 척추의 나머지부분에서 통증과 경직을 유발하며, 수개월에 걸쳐 점진적으로 악화됩니다. 그러나 간혹 초기발병이 신속하고 격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증이나 경직의 증상은 아침이나 장기간 활동하지 않는 후에 심하게 나타나며, 운동이나 찜질 또는 온수 샤워로 가벼워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청소년기 환자의 경우에는 강직성 척추염의 시작을 가벼운 운동 손상으로 오인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성적이고 심한 척추염증환자는 척추의 완전한 뼈융합(척추강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일단 융합이 되면 척추통증은 사라지지만 척추의 운동성은 완전히 상실됩니다. 이렇게 융합된 척추는 사고나 외상으로 부서지거나 파열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런 환자의 갑작스런 척추부위 통증은 뼈의 파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특히 목 부분의 경부척추가 이런 파열이 일어나기 쉬운 부위입니다.
만성척추염과 척추강직은 상체가 앞으로 굽는 원인이 되며, 척추염은 척추 윗부분에 연결된 늑골부위에 영향을 주어 폐 기능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은 염증과 함께 폐에 상처를 입히고 기침을 유발하며 운동과 감염 시 숨이 차는 원인이 됩니다. 이처럼 호흡곤란은 강직성 척추염의 심각한 합병증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홍채염 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습니다. | | |
|
 |
|
 | |
|